'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'의 스노비즘

『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』 의 세계관 20세기 최고의 문학 작품으로 꼽히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『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』(마르셀 프루스트, 김희영 옮김, 민음사, 2012)를 아는가? 이 소설은 프루스트가 1907년부터 집필하기 시작하여 1922년 사망하기 직전까지 무려 15년에 걸쳐 작업한 대작이다. 일부는 미완성 상태로 남았다가 프루스트 사후 출간되었다. 우리나라에서는 김희영 교수(76,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)가 2012년부터 번역작업을 시작하여 그해 첫 권 출간을 시작으로 2022년에 마지막 권이 출간되며 10년에 걸친 번역 작업이 완결되었다. 총 13권으로 이루어졌으며 전집의 총 페이지는 5,784쪽에 이른다. 이 작품을 두고 흔히 “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, 프루스트를 읽은 사람과 읽지 않은 사람만이 있다”라고 할 만큼 찬사는 끊이지 않는다. 이 “높은 찬사”는 프루스트의 작품을 통해 그의 문학적 기법을 체험하고, 이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인 기억과 시간, 예술과 사랑, 질투와 사회적 욕망에 대한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경험하라는 뜻일 텐데, 그러면 이 소설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무엇이냐?를 발견하는 것은 독자의 역량과 관점에 달려있을 것이지만, 어쩌면 그것은 이후 전개되는 글에서 나오는 인물 ‘그 누군가’의 삶의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이다. 그것은 스노비즘snobisme이다. ‘스노비즘’이라는 표현은 이 소설의 1권 125페이지에 처음으로 언급된다. 번역가 김희영의 주석과 작품 해설에 따르면, “흔히 ‘속물근성’이라고 번역되는 스노비즘(snobisme)은 프루스트 소설의 핵심 주제 중 하나다. 이 말은 원래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그 대학 출신이 아닌 다른 대학 출신의 낯선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고 하는데, 보다 일반적으로는 명문가에서 유행하는 태도나 방식을 찬양하고 채택하는 사람을 가리킨다. 르그랑댕이나 베르뒤랭 부인(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)은 바로 이런 귀족 계급...